목차
미국의 금리 인상과 더불어 국제 정세 불안으로 인해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시세가 오르고 있고 사람들의 금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습니다.
그래서 오늘은 금에 투자하는 4가지 방법과 금 시세 조회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금 투자 방법 4가지
골드바 투자
금은방, 한국조폐공사, 은행 등에서 금 실물을 구입한 후 매매 차익으로 수익을 노리는 투자 방법입니다.
골드바 투자는 가장 접근하기 쉬운 투자 방법으로 실물 보유로 인한 심리적인 안정감을 얻을 수 있고 매매 차익에 대한 세금과 배당소득세 및 보유세와 상속세가 과세되지 않는다는 점이 장점입니다.
하지만 골드바 구매 시 부가가치세 10%와 5% 정도의 수수료가 발생하기 때문에 금값이 최소 15% 이상은 올라야 손해를 보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어 장기 투자 목적이신 분들에게 적합한 투자 방법입니다.
은행, 금은방, 금거래소 등에서 가격을 비교해 보시고 합리적인 가격이라고 생각하시는 금액으로 금을 매입하시면 되겠습니다.
금 통장 개설(골드 뱅킹 투자)
금 통장 투자는 금 통장 개설 후 계좌에 돈을 넣어 금을 0.01g 단위로 거래 가능한 간접적인 방식으로 환율 및 금 시세 차이를 통해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.
예치된 금액만큼 금을 은행에 보유하게 되며 예치금을 금 가격으로 환산한 금 중량이 통장에 표시됩니다.
금을 실물로 수령할 수도 있으며, 팔아서 현금으로 받을 수도 있습니다.
입출금이 자유로워 적립식 소액 투자 및 주기적인 자동이체 투자가 가능하고 수수료가 1%대로 매우 저렴한 것이 장점이지만 금을 실물로 수령할 경우 10%의 부가세가 부과되고 현금으로 받을 경우에는 배당소득세 15.4%가 부과된다는 것이 단점입니다.
KRX 금현물 투자
증권사에서 금 투자 계좌를 만들고 해당 계좌로 한국거래소 금 시장인 KRX에서 금에 1g 단위로 간접 투자하는 방식입니다.
주식과 동일하게 9시부터 3시 반까지 거래할 수 있고 배당소득세, 부가가치세, 양도소득세 등 각종 세금이 면제되고 약 0.3% 수준의 거래수수료만 발생하기 때문에 비용면에서 가장 유리한 투자 방법입니다.
하지만 전용 계좌로만 거래가 가능해 절세가 가능한 IRP, ISA 등으로는 절세할 수 없으며 금을 실물로도 찾을 경우 부가가치세 10%와 수수료가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.
금 ETF 투자
금 ETF 투자는 증시에 상장된 금값과 연동되어 운용되는 펀드에 투자하는 방식으로 레버리지나 인버스 투자도 가능하여 가장 공격적인 금 투자 방법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.
상품명에 'H'가 있는 위험분산 투자 상품을 선택해 리스크를 줄일 수 있고, 환율 리스크가 걱정이신 분들은 환헤지 상품을 선택하셔서 투자하실 수 있습니다.
증권사 계좌만 있다면 소액으로 간편하게 거래할 수 있고 연금 계좌로 투자해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거래 수수료가 발생하고 매매 차익 발생 시 15.4%의 배당소득세가 발생하고 금을 실물로도 받을 수 없는 게 단점입니다.
아래 링크를 통해 대표적인 금 etf 종목에 대해 자세히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.
금 시세 조회 방법
국제 금시세 및 국내 금시세는 한국 금거래소 홈페이지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.
국제 금시세는 28일 트라이온스당 2,081.5달러로 최고치를 기록하고 현재는 2,065.2달러로 약간 주춤하고 있긴 하나 여전히 높은 수준의 가격을 형성하고 있습니다.
국내 금시세 역시 꾸준하게 우상향 하고 있고 현재 1g당 86,275원 1돈(3.75g) 당 323,532원을 기록하고 있습니다.
함께 볼만한 글
미국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및 절세 방법 기타 세금 총정리
배당금 배당률 높은 주식 순위 TOP50 및 투자 주의사항